Program at a Glance |
10월 16일(목)
시간 | 컨벤션C홀 | 컨벤션A홀 |
09:00-10:00 |
[워크숍1] 검사법성능평가 Hands-on Workshop I (대상: 대한임상화학회 정회원 및 준회원) |
[워크숍2] AI 마스터 클래스: Google Colab을 |
10:00-11:00 | ||
11:00-12:00 | ||
12:00-13:00 | 점심 | |
13:00-14:00 |
[워크숍1] 검사법성능평가 Hands-on Workshop I (대상: 체외진단의료기기 업계 종사자) |
[워크숍3] 임상화학 리뷰코스 Ⅱ |
14:00-15:00 | ||
15:00-16:00 |
10월 17일(금)
시간 | 컨벤션C홀 | 컨벤션A홀 |
09:00-09:20 | 개회 | |
09:20-10:50 |
[심포지엄1] KSCC-KOSMI 공동 심포지엄: |
|
10:50-11:20 | 사진촬영, 전시 및 포스터 관람 | |
11:20-12:50 |
[심포지엄2] |
[심포지엄5] |
12:50-13:50 | Education Workshop, 점심 | |
[EW] 한국로슈진단 | [EW] 지멘스 헬시니어스 | |
13:50-15:20 |
[심포지엄3] |
[심포지엄6] |
15:20-15:50 | 전시 및 포스터 관람 | |
15:50-16:20 |
[심포지엄4] |
전시 및 포스터 관람 |
16:20-17:20 |
[심포지엄7] |
|
17:20-17:30 | 폐회 |
세션별 소개
구분 | 내용 |
---|---|
WS1: 검사법성능평가 Hands-on Workshop I | 검사법성능평가위원회의 검사법성능평가 워크숍은 이론 중심 교육을 넘어,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실습과 퀴즈 형식의 임상 사례 분석을 통해 참가자들이 검사법 성능평가 도구를 직접 다루고 해석하는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결과 해석 중심 워크숍이다. 이번 워크숍은 “실무를 위한 정밀도 및 직선성 이론 총정리”, “현장에서 바로 쓰는 CLSI EP15: 실습과 사례로 익히는 정밀도 검정” 및 “현장에서 바로 쓰는 CLSI EP6: 실습과 사례로 익히는 직선성 검정” 의 임상검사실 실무에 필수적인 두가지 평가항목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
WS2: AI 마스터 클래스: Google Colab을 이용한 Local LLM과 데이터분석 |
본 워크숍은 Local LLM을 사용해 보고, LLM을 이용해 데이터 분석에 첫발을 내딛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코스이다. 본 워크숍에서는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Google Colab 환경에서 모든 실습을 진행한다. Colab 환경에 익숙해지고, Local LLM(거대 언어 모델)을 설치하여 데이터 분석 파트너로 활용하는 경험과 LLM을 이용해 정적인 그래프를 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인터랙티브 시각화 기법과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익힌다. 데이터 분석의 이론보다는 임상화학 데이터를 이용해 실제로 분석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워크숍이다. |
WS3: 임상화학 리뷰코스 Ⅱ |
이번 리뷰코스는 임상화학 분야의 핵심 주제를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과정이다. 검사정보시스템(LIS), 통계적 정도관리, 화학면역분석법, 지질/지단백, 체액검사 등 실제 검사실에서 활용도가 높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각 연제는 교과서적인 이론부터 검사실의 실제 사례, 최신 정보까지 균형 있게 다룰 예정이다. 기초를 탄탄히 다지면서 실질적인 팁과 적용을 원하는 진단검사의학과 전공의 및 전문의에게 유익한 과정이 될 것이다. |
S1: AI 와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검사실의 구현과 발전 방향 |
최근 검사실 운영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의 활용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데이터 기반의 검사실 운영 전략과 향후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검사실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S2: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 최신지견 |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에 대해서 최근에 연구와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많은 관심이 몰리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의 전반적인 상황과 최신지견을 살펴본다. 우선 임상적인 맥락을 살펴보고 각 바이오마커들의 장단점과 진단성능의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본다. |
S3: 임상화학 검사를 위한 비교평가의 실제 | 임상검사실에서 정확하고 일관된 검사 결과를 제공하고, 우수검사실 신임인증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본 세션에서는 정도관리물질의 허용구간 설정부터 시약 및 장비의 동등성 검정까지, 검사실 비교평가에 필수적인 내용을 실제 사례를 통해 소개한다. |
S4: 진단검사 표준화의 현재와 실무 대응 전략 | 진단검사의 표준화는 검사결과의 해석과 임상적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모든 검사를 일률적으로 표준화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임상적 중요성을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 설정과 실무 적용 전략이 필요하다. 본 세션에서는 검사 표준화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과 사례를 통해 표준화가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
S5: 다양한 약물에서의 치료약물농도감시 최신지견 | 본 세션에서는 Vancomycin TDM의 최신지견과 함께 새로 임상적 요구에 의한 세팅 사례가 있는 Teicoplanin , Infliximab 약물들의 농도 측정에의 특이사항 및 자문시에 염두에 두어야할 약동학/약력학적 특이점들을 경험있는 연자들로부터 들어본다. |
S6: 임상질량분석 단기과정(I): 임상질량분석검사 부트캠프 |
본 세션에서는 질량분석법의 역사와 원리부터 실제적 임상질량분석검사실 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활용과 장비 선정, 검사실 운영까지 검사실 구축을 위한 과정별 지식을 단계적으로 다룬다.
|
S7: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 본 세션에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분석 공모전에 참가한 우수연제들로부터 분석 노하우와 경험을 들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