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 at a Glance |
4월 16일(수)
시간 | 컨벤션C홀 | 컨벤션B홀 |
09:00-10:00 |
(대상: 대한임상화학회 정회원 및 준회원) |
|
10:00-11:00 | ||
11:00-12:00 | ||
12:00-13:00 | 점심 | |
13:00-14:00 |
(대상: 체외진단의료기기 업계 종사자) |
|
14:00-15:00 | ||
15:00-16:00 |
4월 17일(목)
시간 | 컨벤션C홀 | 컨퍼런스룸 1·2 |
09:00-09:15 | 개회 | |
09:15-10:45 | ||
10:45-11:15 | 사진촬영, 전시 관람 | |
11:15-12:45 | ||
12:45-13:45 | 점심, 전시 관람 | |
13:45-15:15 | ||
15:15-15:45 | 전시 관람 | |
15:45-17:15 | ||
17:15-17:30 | 총회 및 폐회 |
세션별 소개
구분 | 내용 |
---|---|
검사법성능평가 워크숍 | 검사법성능평가 워크숍은 이론 교육 뿐만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참가자들이 체계적인 검사법 평가 도구를 직접 다루고 해석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습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체외진단의료기기 참고구간 평가 – EP28”, “체외진단의료기기 정성검사 평가 – EP12”, 및 “검사법성능평가 결과 종합 해석 및 문제 해결”의 세 가지 테마로 운영되며, 각 주제는 임상검사실에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실전 임상화학을 위한 AI 마스터클래스 : 머신러닝과 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
임상화학 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딥러닝 기초와 경진대회 정보를 소개하고, 패널토의를 통해 실제 분석 경험과 어려움을 공유하는 세션입니다. |
임상화학 리뷰코스 I |
진단검사의학과 전공의를 포함한 모든 대한임상화학회 회원들 및 학회 참석자들을 위한 "임상화학 리뷰코스 I"은 "리뷰코스 소개 및 운영 계획"과 "총론 2연제" 및 "각론 3연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총론에서는 실제 검사실 운영에 필요한 실무 중심의 내용을 제공하며, 각론에서는 임상에서 자주 접하는 주요 항목에 대한 핵심 개념과 최신 지견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것입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분석수행사양, 질 관리 핵심 지표, 질량분석,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 검사, 간담췌 효소 검사 등 기초부터 심화까지 폭넓게 다루어, 참석자 모두에게 유익한 교육이 될 것입니다. |
S1 임상화학과 AI 혁신 | 임상화학 분야의 AI 혁신을 주제로, 최신 트렌드부터 진단검사 활용, LLM 기반 미래 전망까지 폭넓게 다루는 세션입니다. |
S2 검사실 인증에 유용한 검사법 평가 | 검사실 인증과 질 관리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검사법 평가를 주제로 구성되었습니다. 검사법 성능평가의 핵심 요소들을 중심으로, 각 항목의 검증 및 검정 방법과 이를 실제 검사실 운영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다룹니다. 이번 세션은 총 3개의 실무 중심 연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실 품질관리 및 인증 준비에 필요한 핵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합니다. |
S3 외부정도관리의 기본 개념과 실제 | 외부정도관리의 개념부터 국내외 현황, 정확도 기반 외부정도관리의 방식 및 특징, 특히 외부정도관리 물질의 교환가능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외부정도 관리 결과의 평가와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팁도 공유할 예정입니다. |
S4 간질환 진단검사의 최신 지견 | 주요 간질환(NASH, 간섬유화, 간경변, 간암 등)의 진단을 위한 진단검사의학 검사의 활용에 대한 임상과의 실제 경험을 공유하고, 간 기능·섬유화 평가와 간암 조기 진단을 위한 최신 바이오마커의 개발 및 연구 동향을 소개합니다. |
S5 임상화학 분야에서의 오믹스 검사 | 질환 중심으로 질량분석법과 오믹스 기술을 결합한 오믹스 검사법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오믹스 검사의 대표적인 단백체학, 대사체학, 지질체학을 적용한 임상 연구 사례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
S6 신진 연구자 세션 | 신진 연구자 세션은 신진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를 발표하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동료 간 토론 및 피드백, 협업, 지식 교류, 네트워킹을 촉진하여, 해당 분야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학문적 성장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